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5(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2021년 4월 19일
2021년 4월 19일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5(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
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여기에 소개하는 거북이 모양 바위(도1)는 2020년 1월 29일 소개한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속에 있는 거북이 바위(도2)(도3)(도4)의 동쪽 약 1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인왕산 숲길에서도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이다.
역시 거의 어김없이 날마다 지나가며 바라보는 바위이다. 거북이 모양으로 보였지만 혹여 내 지난 노력, 주장 모두를 지나치다 여길 수 있을까하는 근심으로 소개하지 않았지만 2021년 4월 4일 원고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를 작성하며 거북이 모양임을 확신을 하게 되었기로 오늘 별도 이름으로 소개하게 되었다.
이 바위에도 다른 기자 신앙 유적처럼 (작은) 돌을 갈았던 흔적이 있는데 특히 머리 부위에 선명하게 남아 있다. 아들을 포함한 자녀 낳기를 기원, 치성의 흔적(정성 드린 흔적)이다. 또한 이 바위 표면에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장 큰 네모가 된 선(점선 포함)이 있다. 이 모습은 돌을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하려던 흔적, 떼어 내려던(이를 돌을 뜬다고 하였고 한자로는 浮石 割石 採石)) 흔적이다.
<부석: 조선시대 왕릉을 조영(造營)한 임시 관청인 산릉도감에는 부석소(浮石所)가 있었고 이는 관련 의궤(儀軌)에도 나온다. 부석소에서는 돌을 떠 왕릉에 사용되는 필요한 각종 형태를 만드는 일을 맡았다.>
다행인지 그 작업을 더 진행하지 않았기에 지금껏 거북이 모양 바위가 남게 된 것이다. 더 진행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특이한 거북이 모양이고 신앙 대상이었거나, 영험한 모습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본다. 부디 이 바위가 오늘 이후로도 반드시 파손되지 않기를, 천년만년 그대로 자리하기를 간절히 기원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馬韓 遺民』(2015.6.17.).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바위에 새긴 백세청풍(百世淸風) 글씨」,『馬韓 遺民』(2015.6.18.).
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5.10.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 기어가며 자라난 소나무」,『馬韓 遺民』(2016.11.13.).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의 능선 반룡강(蟠龍崗) 또는 와룡강(臥龍崗)에 대하여」,『馬韓 遺民』(2016.11.1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6.11.16.).
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馬韓 遺民』(2016.11.16.).(2020.1.14. 보완)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馬韓 遺民』(2020.1.29.).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馬韓 遺民』(2020.2.2.).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馬韓 遺民』(2021.1.17.).
조원교,「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천·지·인)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馬韓 遺民』(2021.1.18.).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馬韓 遺民』(2021.2.27.).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4(신교동 2-140번지)」,『馬韓 遺民』(2021.2.27.).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馬韓 遺民』(2021.4.3.).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馬韓 遺民』(202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