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제 산수문전 연구(산경문전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2023년 2월 4일

조원교 2023. 2. 4. 11:36

2023년 2월 4일 백제 산수문전 연구(산경문전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hwp
0.07MB

 

백제 산수문전 연구(산경문전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202324일 작성)

매우 중요한 논문 자랑스러운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부득불 다시 올립니다. 글에 사진을 안치한 논문의 스캔은 마한 유민 블로그 티스토리에 실려 있습니다. 같은 이름의 논문 제목으로 검색을 하시면 나옵니다. 아니면 2013년 5월 30일로도 검색하시면 됩니다.

아래 목록은 관련된 글 목록입니다.

 

발표 시기 제목 및 관련 내용 등 비고
20066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 연구, 󰡔미술자료󰡕 74호 총 130/ 흔히 산수문전, 산경문전으로 알려진 그림과 용, 봉황, 귀면(도깨비), 연꽃을 그린 그림 등 8종의 벽돌 그림은 백제금동대향로와 같은 이상 세계 즉 해중신산과 그를 구성하는 물상(物像)임을 주장하는 논문이다. 산의 모습, 연화화생산, 삼신산, 능선의 직선문(빗금), , 봉황, 귀면(도깨비), 인물(신선), 폭포 등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文樣塼(산수문전·산경문전) 연구의 보완,馬韓 遺民>(20141217)
국립중앙박물관
201486() 2014년 어린이 기자단 8월 심화교육
-제목: 백제 산수문전
-시간 및 장소: 1600-1730, 1강의실
-초등학생 4-6학년 어린이 기자단 45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팀 요청
20141217()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총독부 건물 중앙홀 그림의 테두리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020519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文樣塼(산수문전·산경문전) 연구의 보완,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3530() 백제 무령왕릉 출토 은제탁잔銀製托盞에 대한 연구, 󰡔東垣 學術論文集󰡕, 14, 2013,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발행, pp.291-321 원고집필/
탁잔의 형태와 그 표면에 그림 문양들은 백제금동대향로의 도상과 기본적으로 일치하기에 이를 증명하고 소개하는 논문이다. 같은 구도의 해중신산, 연화화생산, 같은 소재(, 연꽃, , 봉황, 인물(신선), 폭포, 삼신산, 능선의 직선문, 빗금) 표현 등을 집중하여 소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발행
199911 해중신산海中神山에 관한 문헌文獻과 도상圖像 연구硏究, 󰡔미술자료美術資料󰡕 63, pp.1-32.//백제금동대향로가 해중신산 도상이므로 관련 도상 등을 소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200012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관한 연구硏究, 󰡔미술자료美術資料󰡕 65//1994년 특별전과 그 이후 작성한 마한 유민의 여러 글들(앞 초록색 논문 등)을 종합하고 교정하여 작성한 논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20156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8, 27, pp.207-234// 백제금동대향로가 다양한 동물 인물(신선) 그리고 신산을 표현한 도상이므로 이를 신산 세계로 명명하고 관련되는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韓國文化思想學會
20159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9, 33, pp.275-307
韓國文化思想學會
2016826() 扶餘 陵山里 出土 百濟金銅大香爐 硏究, 󰡔박사학위논문󰡕
The Study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from Neungsan-ri, Buyeo
<총합 476, 분량: 1481(200자 원고지), 사진 780>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일문초록 중문초록 총 14)
(서론 본문 결론 참고문헌 사진목차 부록 총 462)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학박사, 학박 제23,
학위등록번호: 동방대학원대 15학박08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222()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경주 황남대총 출토 은잔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221219 마한 유민 박사학위논문(2016826) <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 연구>에 실린 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리기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기 등/2016826/20221219일 등록 마한 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