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2023년 2월 6일)

조원교 2023. 2. 6. 09:49

2023년 2월 6일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2023년 2월 6일).hwp
0.07MB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 원고 목록, 2023년 2월 6일)

 

발표 시기 내용 비고
20131223 고구려 기와 문양文樣에 대한 연구-평양平壤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考古學誌󰡕 19, 89-138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2014813()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고구려 기와 문양의 해석
국립중앙박물관 이우찌이사오井內功
20141015()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토기의 문양(1)-경주 노동동 출토 신라 토기 등을 통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4115()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우리나라 청동기 문양의 해석
국립중앙박물관 고조선실(청동기실)
20141210()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백제 금동관·관모冠帽·관식冠飾의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201412 한국 古代 표현에 대한 연구 -新石器時代 土器·靑銅器時代 청동기·삼국시대 토기를 중심으로-, 󰡔문화와예술연구󰡕 , 第 四輯, 43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512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신라 금관金冠의 모양과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521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삼국시대 관모冠帽의 문양과 모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20156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8, 27, pp.207-234
韓國文化思想學會
20159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9, 33, pp.275-307
韓國文化思想學會
2015114 둥근 문양 기와 즉 '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한 연구
-귀목문鬼目文·일휘문日暉文이란 명칭 사용을 금지하기 바라며-
<둥근 문양 즉 원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하여(보완)>(2018830)
<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하여(재보완)>(2029613)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7222()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경주 황남대총 출토 은잔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8830 둥근 문양 즉 원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하여(보완)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9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령 지산동 제32호묘 출토 대가야 금동관의 신해석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93 신라 금관에 대한 연구 - 소위 出字출자또는 山字산자입식立飾에 대한 신해석新解釋-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103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고령 지산동 제32호묘 출토 대가야 금동관의 형태와 문양에 대한 연구(마한 유민 201893일 작성 원고)
국립중앙박물관 가야실
2019327()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신라 금관에 대한 신연구(新硏究) - 소위 出字출자또는 山字산자입식立飾에 대한 신해석新解釋-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9823일 제출 큐레이터 추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원고
고려시대 동제銅製 연꽃 모양 장신구
국립중앙박물관 의뢰 결과 이 글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 2020년에 실림
20191030()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에서 기·화생의 확산과 상승을 표현한 예
국립중앙박물관 가야 
2019124 경주 감은사感恩寺 석탑 사리기 맨 위 둥근 고리 형태의 해석 -둥근 고리인 원()은 연꽃(연화)의 가장 간단한 표현이라는 주장-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10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2) -방사형放射形 연화문·직선문(선문덩굴문·원문·삼각문등으로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확산됨을 표현-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19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3) -중앙에서 외곽을 향한 방사형(放射形) 문양대(文樣帶)의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2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4)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螺旋形) 연화문·고사리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7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8)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


<일신라 골호(骨壺)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2020318>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520>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2021118>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8 통일신라 골호(骨壺)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6 통일신라시대 토기 문양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5.6.).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2 광배의 화염문火焰文이란 용어의 잘못됨을 지적하는 연구-광배의 화염문은 나선형(螺旋形)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 연화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3 훈민정음(한글)과 청동기시대 청동기,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상관 관계 연구세종대왕은 우리 겨레의 보편적 사고를 응용, 적용하여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4 영천 어은동 출토 청동기 문양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0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1 국보 제95호 청자 투각 향로의 문양과 형태 연구 연화문·원문(圓文)을 칠보문이라 잘못 부르고 있으므로 명칭 시정을 바라며-,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61 연화문·태극문·곡옥(曲玉) 안에 있는 작은 원문(圓文)’이나 작은 구멍에 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63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초상화에 있는 연화문에 대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1118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221230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輯, 48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