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 계곡의 잘려버린 버드나무(2024년 4월 10일 작성, 2023년 7월 25일 직전 무렵 잘림)

조원교 2024. 4. 10. 12:28

2024410일 작성, 2023725일 직전 잘려버린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 계곡의 버드나무

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2024410

 

2023년 7월 25일 잘린 채 쌓여있는 서울 인왕산 옥류동 계곡(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로 추정되는 곳)의 가장 큰 버드나무를 애도하며잘려서 쌓은 둥치들에서 봄이 왔다고 새 순들이 자라 새 가지들이 됨을 보며

 

하느님 산신님 삼라만상의 섭리를 느꼈다.

제가 본관이 양주(楊州)라서인지

(아호도 조상 대대로 ‘양楊’ 자가 많이 들어가셨고 나도 양대楊臺)

나고 자란 시골 익산 엽동 마을에 고목이 된 버드나무들이 즐비했음을 생각해서인지

또 나의 엽동집의 개울가에도 제법 큰 수양 버드나무가 있었음에서인지

버드나무를 바라보는 눈길 마음이 남다르다.

서울 청운초등학교 뒤편의 옛 청풍계 마지막 버드나무처럼 잘려나간 이 옥류동의 버드나무는 그래서 이렇게 글로 남기려 한다.

또한 그 약 30미터 남쪽에 있는 가장 큰 복숭아나무도 혹시 잘려나갈 까 봐

그리고 약 50미터 동쪽에서 서로 기대어 자라고 있는 자두나무 두 그루도 마찬가지이다.

걱정이 앞서는 것은 큰 신경을 쓰지 않고 정비 차원에서 잘라 버린다는 것.

더 이상 이런 일들이 자행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2024년 4월 15일 저녁에 두 자두나무 중 작은 자두나무의 아랫 가지가 톱으로 잘라진 것이 확인되었다. 잘린 부위의 흔적이 아문 것을 보니 아마도 작년에 일대의 나무를  정리하며 잘렸을 것으로 보인다. 그 잘린 부위가 큰 자두나무를 받들고 있는 부위였다. 이제는 큰 자두나무만 작은 자두나무를 받들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다. 을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馬韓 遺民(2015.6.17.).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馬韓 遺民(2021.4.3.).

*조원교,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馬韓 遺民(2021.4.4.).

2021년 4월 3일 서울 인왕산 옥류동 계곡(북쪽에서 촬영) (가운데 크고 푸른 나무가 버드나무)/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로 추정되는 곳이다.

 

2023년 7월 25일 촬영/ 이 계곡에서 가장 큰 버드나무였다. 즐겁게 바라보고 지나다녔건만... 아마 그 전날에 잘린 듯하다./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로 추정되는 곳이다.
사진 속 버드나무는 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로 추정되는 곳(산 3-1 번지 안에서도 파란 표시)에 있다.

사진 속 버드나무는 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로 추정되는 곳(3-1 번지 안에서도 파란 표시)에 있다.

2023년 7월 25일 촬영/ 이 계곡에서 가장 큰 버드나무였다. 즐겁게 바라보고 지나다녔건만... 아마 그 전날에 잘린 듯하다.

 

2023년 7월 25일 촬영/ 이 계곡에서 가장 큰 버드나무였다. 즐겁게 바라보고 지나다녔건만... 아마 그 전날에 잘린 듯하다.

 

2024년 4월 10일
2024년 4월 10일

 

 

2024년 4월 10일 잘린 몸둥이(둥치)에서 버드나무 새 순이 나와 새 줄기가 되고 있다.
2012년 5월 8일 촬영 익산 엽동의 버드나무/ 많은 나무 중 한 그루였고 최후의 나무였다. 그나마 지금은 사라졌음
2016년 9월 16일 촬영/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옛 청풍계 마을)/ 청운초등학교 뒤편에 있던 마지막 버드나무(사진 중앙 작은 나무)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馬韓 遺民』(2015.6.17.).

좌측 2021년 6월 21일/우측 4월 1일  촬영 서울 인왕산 옥류동 계곡 옆의 두 자두나무/ 서로 기대어 자라고 있다.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馬韓 遺民(2021.4.3.).

 

2021년 4월 3일 촬영 옥류동에서 가장 큰 복숭아나무(남쪽에서 촬영)
2024년 4월 10일 촬영 복숭아나무(북쪽에서 촬영)
2024년 4월 10일 촬영 복숭아나무(남쪽에서 촬영)

 

<참고문헌>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馬韓 遺民(2015.6.17.).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바위에 새긴 백세청풍(百世淸風) 글씨,馬韓 遺民(2015.6.18.).

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5.10.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 기어가며 자라난 소나무,馬韓 遺民(2016.11.13.).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의 능선 반룡강(蟠龍崗) 또는 와룡강(臥龍崗)에 대하여,馬韓 遺民(2016.11.1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6.11.16.).

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馬韓 遺民(2016.11.16.).(2020.1.14. 보완)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馬韓 遺民(2020.1.29.).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馬韓 遺民(2020.2.2.).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馬韓 遺民(2021.1.17.).

조원교,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馬韓 遺民(2021.1.18.).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馬韓 遺民(2021.2.27.).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4(신교동 2-140번지),馬韓 遺民(2021.2.27.).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馬韓 遺民(2021.4.3.).

조원교,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馬韓 遺民(2021.4.4.).

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5.10.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6.11.16.).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馬韓 遺民(2020.1.29.).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馬韓 遺民(2020.2.2.).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馬韓 遺民(2021.1.17.).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馬韓 遺民(2021.2.27.).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馬韓 遺民(2021.4.3.).

조원교,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馬韓 遺民(2021.4.4.).

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6(신교동 2-140번지) -암수 바위-,馬韓 遺民(2023. 9. 22).

조원교,오늘 새로 찾은 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번지 인왕산 안 거북이 모양 바위들,馬韓 遺民(2023.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