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990년 8월∼2024년 9월 30일 조원교의 주요 연구 논문 목록(보완 연구 포함)

조원교 2024. 5. 3. 11:32

아래 목록을 포함한 글 목록은  <마한 유민 이력 연구논문 총목록(블로그 공개용)>에 실려 있습니다. 이 글들은 대부분 마한 유민 블로그에 소개하였습니다. 

조원교 주요 연구 논문 목록(19908312024년 9월 30)
년도 논문제목 수록 장소
1990831 百濟佛像光背硏究, 󰡔석사학위논문󰡕 224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19916 미국 보스톤 미술관 관장 얀 폰테인Jan Fontein의 논문(마한 유민은 번역하였으며 각주와 사진 등 추가 보완), 「서산瑞山 보원사지普願寺址 오층석탑五層石塔에서 발견된 사리합舍利盒, 󰡔미술자료美術資料󰡕 47, pp.94-108 국립중앙박물관
19926 익산益山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광배光背의 도상 연구圖像硏究, 󰡔미술자료󰡕 49 국립중앙박물관
2020422 익산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 광배 도상 연구의 수정과 보완,馬韓 遺民(2020.4.22.).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2 광배의 화염문火焰文이란 용어의 잘못됨을 지적하는 연구-광배의 화염문은 나선형(螺旋形)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 연화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19938 한국의 불상, 󰡔교육월보󰡕, 19938월호 pp.98-105 대한민국 교육부 발간
199312 흥국사興國寺의 역사歷史, 󰡔미술사학지󰡕, 第一輯 한국고고미술연구소(국립중앙박물관 내)
19946 중국中國 박산향로博山香爐에 관한 고찰考察(), 󰡔미술자료󰡕 53 국립중앙박물관
2020527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의 수정·보완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19947 부여 능산리陵山里 출토出土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百濟金銅龍鳳蓬萊山香爐, 󰡔공간空間󰡕, pp.17-25. 서울 공간사
1994630 Le brule-parfum de lepoque paeckche decouvert a Nungsan-ri en 1993, 󰡔Revue de COREE󰡕, pp.103-123 commission Nationale Coreenne Pour L,Unesco
1994년 가을 A Study of The Paekche Gilt-bronze Incence Burner Excavated from Nungsan-ri,Puyo in 1993, 󰡔KOREA JOURNAL󰡕, pp.82-98. 유네스코 소속 국제교류재단
199412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 󰡔미술자료󰡕 54 국립중앙박물관
2020527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의 수정·보완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1995 움직이는 박물관전시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프로그램 기획; 관련 패널, 브로슈어 등 원고 작성 국립중앙박물관
섭외교육과
1995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百濟金銅龍鳳蓬萊山香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12 연화화생蓮華化生에 등장登場하는 장식문양 고찰裝飾文樣考察, 󰡔미술자료󰡕 56 국립중앙박물관
202324 연화문 연구 목록(연화문에 관한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19963 환두대도環頭大刀의 환두내環頭內에 등장登場하는 도안고찰圖案考察, 󰡔재단법인 불교미술협회助成硏究 중국한국의 박물관연구원과의 국제공동연구 -해외에서 본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請來系文物의 연구-연구성과보고󰡕. pp29-36,61-67 일본 나라국립박물관
19976 동물動物의 입에서 비롯되는 화생도상化生圖像 고찰考察- 동아시아 지역과 용을 중심으로-, 󰡔미술자료󰡕 58 국립중앙박물관
1998711 특별전 도록: 한국 호랑이의 조형造形과 상징象徵, 󰡔우리 호랑이󰡕 국립중앙박물관
199811 연화화생산蓮華化生山 도상圖像과 그 교호交互에 관한 연구硏究, 󰡔미술자료󰡕 60 국립중앙박물관
199811(좌목座目 부분 작성) 16세기말(1560년대) 계회도契會圖 신예新例-정사신鄭士信 참여參與 봉산계회도蓬山契會圖6-, 󰡔미술자료美術資料󰡕 61 국립중앙박물관
199812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건물建物의 문양文樣에 대한 고찰考察- 문양을 중심으로-󰡕, 󰡔중앙사론中央史論󰡕 십일十一합집合輯, 233-265 중앙대학교 사학과
202046 조선총독부 건물 文樣의 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4.6.).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7 () 경성부청(京城府廳서울특별시청, () 서울도서관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4.7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1999630(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조선朝鮮의 태실胎室󰡕 Ⅰ··
특히 내에는 논문조선朝鮮의 태실胎室수록 177-253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2021119 조선의 태실󰡕(1999630일 발간)의 교정, 보완-정오표正誤表 및 추가 내용-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23411 조선 왕실 태실 등 우리나라 태실 태봉 태지 태항아리의 연구 조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19991031 선운사禪雲寺내소사來蘇寺개암사開巖寺의 석조문화재石造文化財 조사調査, 󰡔2회 동원학술전국대회 발표요지 동원학술전국대회東垣學術全國大會󰡕, pp.87-95.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911 해중신산海中神山에 관한 문헌文獻과 도상圖像 연구硏究, 󰡔미술자료美術資料󰡕 63, pp.1-32. 국립중앙박물관
200012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관한 연구硏究-도상 해석을 중심으로-, 󰡔미술자료美術資料󰡕 65 국립중앙박물관
2020529 백제금동대향로에 관한 필자 작성 1995년까지의 글, 논문의 오류에 대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3215 백제금동대향로 연구의 결론을 다시 소개하며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발생하고 전개된 역사문화유산의 핵심-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0012

선운사禪雲寺의 역사歷史」․「내소사來蘇寺의 역사歷史」․「개암사開巖寺의 역사歷史, 󰡔미술사학지美術史學誌󰡕 3.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012

광주군廣州郡의 역사歷史, 󰡔경기도광주중앙관요京畿道廣州中央官窯 - 요지지표조사보고서窯址地表調査報告書- 󰡕 국립중앙박물관경기도박물관
20066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 연구, 󰡔미술자료󰡕 74호 총 130 국립중앙박물관
2020519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文樣塼(산수문전·산경문전) 연구의 보완,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324 백제 산수문전 연구(산경문전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081219 백제금동대향로,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 원고료: 254,300원 받음, pp.208-215 문화재청
2009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발견 사리장엄구에 대한 연구, 󰡔百濟硏究󰡕 4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324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연구 목록(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기 연구 목록)(마한 유민 작성 원고 목록)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112 공주 金鶴洞 절터 출토 석조 광배(光背)에 관한 연구, 󰡔고고학지考古學誌󰡕 17, 국립중앙박물관, 723-749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2013415() 테마전 월정사상원사 등 오대산의 역사문화유산,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漢岩과 탄허呑虛󰡕, 2013, 국립중앙박물관 415일 발행, .257-271면 원고집필 국립중앙박물관 간행,
2011228()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도록,조선시대의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연구硏究,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2011, 226-241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간행
2011228()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도록,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현황 및 분석,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242249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간행
2012926() 특별전 도록 󰡔공주 마곡사󰡕 마곡사의 역사 원고 집필, 14-19 국립공주박물관
2013530() 百濟 武寧王陵 출토 銀製 托盞에 대한 연구, 󰡔東垣 學術論文集󰡕, 14, 2013,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발행, pp.291-321 원고집필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2324 백제 무령왕릉 출토 은잔 연구(은제탁잔銀製托盞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31223 고구려 기와 문양文樣에 대한 연구-평양平壤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考古學誌󰡕 , 19, 89-138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202322 고구려 기와 등 기와 문양에 대한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412 한국 古代 표현에 대한 연구
-新石器時代 土器·靑銅器時代 청동기·삼국시대 토기를 중심으로-, 󰡔문화와예술연구󰡕 , 4, pp.1-43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26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4219() 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실 중심으로-, 󰡔2014년 상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 멘토 교육󰡕, 51-70 국립중앙박물관 고객지원팀 요청,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진행
2014820() 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실 중심으로-, 󰡔2014년 하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멘토 기본교육󰡕, 85-101. 국립중앙박물관 고객지원팀 요청,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진행
20156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8, 27, pp.207-234
韓國文化思想學會
20159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圖像 연구()
- 三國時代까지, 표현 중심으로 -, 󰡔韓國思想文化󰡕 , 79, 33, pp.275-307
韓國文化思想學會
2016826() 扶餘 陵山里 出土 百濟金銅大香爐 硏究, 󰡔박사학위논문󰡕 462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215 백제금동대향로 연구의 결론을 다시 소개하며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발생하고 전개된 역사문화유산의 핵심-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71220 안성 청룡사의 역사,사찰종합조사보고서 7 조선 왕실의 원당 2 안성 청룡사pp.12-29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2018430 상주 연악산(淵嶽山) 용흥사(龍興寺)의 역사,세 부처의 모임 상주 용흥사 괘불pp.72-74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테마전)
202325 불교 문화재 및 사찰의 연구 목록(조원교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81231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 -海中神山三神山 그림-, 󰡔文化藝術硏究󰡕 , 第 十二輯, pp.13-47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630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 연구, 󰡔文化藝術硏究󰡕 , 第 十三輯, pp.13-52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1230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輯, 48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25 삼국시대 금관 금동관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24330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에 관한 연구,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四輯, 60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4427() 2024년도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주관 춘계학술대회 연구 논문 발표
발표 제목: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pp.5-40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4930 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 -금관 금동관·기와·도자기를 중심으로-,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六輯, 60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