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천·지·인)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2021년 1월 18일

조원교 2021. 1. 18. 09:09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2021118일 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여기에 소개하는 분청사기편은 작년 917일 서울 청운동 52-8번지 단독 주택의 화단에서 발견되었다. 우수배출을 위한 구덩이를 파던 도중 나온 두 도자기편 중에 하나이다. <하나는 문자 즉 명문이 있는 파편, 다른 하나는 여기에 소개하는 연화문이 있는 파편이다.>    

이 도자기에 있는 문양은 한 연판 안에 세 개의 원문을 넣고 이를 연속 배치한 모습이다. 이처럼 한 연판 안에 세 원문을 배치한 경우는 백제 때 만든 익산 입점리 출토 금동 신발, 미륵사지 출토 사리기에서도 볼 수 있어 유구한 전통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필자가 줄곧 주장하고 강조한 내용을 잘 대변하는 모습이므로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원은 연꽃의 가장 단순한 표현이다. 이를 연속 표현한 것이다.

둘째 원을 세 개씩 한 조(一組)로 표현한 것은 삼()을 가장 기본단위로 삼는 전통 표현 특히 천지인(天地人)이라는 우주적 표현’ , ‘우주적 상징을 담고 있는 연화문 표현이다.

2020년 9월 17일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안)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밖)

 

연판 안에 동그라미(원) 역시 연꽃의 가장 간단한 모습이다. 한 연판 마다 안에 원을 세 개를 일조로 배치한 것도 하늘은 둥근 원으로 땅은 네모지게 사람은 삼각 또는 원추형으로 표현하던 천지인으로 구성되는 삼재를 빌려 표현한 연꽃이다

 

익산 입점리 1호묘 출토 신발 금동신발, 장長 31.5,cm 국립경주박물관, 신라황금, 2001년, p.262

 

익산 입점리 1호묘 출토 신발 금동신발의 부분/ 네모로 표현한 연판 안에 연꽃(원형에 가까운 연판)을 배치하였다. 이 연꽃은 네모로 표현한 연꽃 즉 삼재로 표현한 연꽃과 그 안에 연판을 세 개씩 배치한 점에서 서울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의 연화문과 궤를 같이 한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기 등, 외호(금동) 고 13, 폭 7.7, 내호(금제) 고 5.6, 폭 2.6cm, 국립익산박물관 소장

 

익산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기 외호의 부분 불교중앙박물관,『百濟가람에 담긴 佛敎文化』, pp.139.<연판 안에 원문이 세 개씩 배치되어 있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기 외호의 부분 불교중앙박물관,『百濟가람에 담긴 佛敎文化』, pp.139.<연판 안에 원문이 세 개씩 배치되어 있다.>
 

아래 참고문헌에서 이 글에 가장 직접 참고가 되는 경우 @표시를 하였다.

 

<參考文獻>

趙源(趙容重),百濟 佛像光背硏究(弘益大學校 大學院 美術史學科 碩士學位 論文, 1990.8).

-----,익산益山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광배光背의 도상 연구圖像硏 究 -문양을 통하여 본 백제불상광배의 특성-,미술자료49(국립중앙박물 관, 1992.6).

-----,中國 博山香爐에 관한 考察(),미술자료53(1994.6).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미술자료54(1994.12).

-----,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국립중앙박물관)의 장식문양에 대한 소견-조 선총독부 건물에 장식된 연화문을 중심으로-, ?박물관신문?(19959월호)

-----,蓮華化生登場하는 裝飾文樣 考察,미술자료56( 1995.12).

-----,動物의 입에서 비롯되는 化生 圖像 考察,미술자료58(1997.6).

-----,박물관신수유물 나전연엽일주반螺鈿蓮葉一柱盤,?박물관신문?(국립중앙박물관, 1999.7).

-----,蓮華化生山 圖像과 그 交互한 연구, ?미술자료? 60(1998.11).

-----,海中神山에 관한 文獻圖像 연구,미술자료63(1999.11).

-----,朝鮮總督府 건물의 문양에 대한 考察, ?中央史論? 第十·十一合輯(중앙대학교 사학과 1998.12).

-----,百濟金銅大香爐에 관한 연구,미술자료65(2000.12).

趙源喬,항해하는 배 문양에 황비창천이라는 명문이 있는 동경(국립중앙박물관 큐레 이터와의 대화, 2008.4.9.).
-----,황비창천명문이 있는 동경, ?박물관신문?(국립중앙박물관, 2008.8.1.)

-----,扶餘 外里 출토 백제 文樣塼 연구,미술자료74(2006.6).

-----, ?대한의 상징, 태극기?(국립중앙박물관, 2008.9.30.), pp.3772.

-----, 백제금동대향로,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문화재청, 2008.12.19.,

pp.208-215).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發見 舍利莊嚴具에 대한 硏究,百濟硏究49(大田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9.2).

-----,公州 金鶴洞 절터 출토 石造 光背에 관한 硏究,考古學誌17(국립중앙박 물관, 2011.12).

-----,百濟 武寧王陵 出土 銀製托盞에 대한 硏究,東垣學術論文集14(國立中央 博物館韓國考古美術硏究所, 2013.5).

-----,백자 산모양 필세(筆洗)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359, 2013.9.11.).

-----,高句麗 기와 文樣에 대한 硏究,考古學誌19(2013.12).

-----,토기의 문양(1)-경주 노동동 출토 신라 토기 등을 통한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359, 2014.10.15.).

-----,韓國 古代 氣 表現에 대한 硏究,文化藝術硏究第四輯(서울 東方文化大學 院大學校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4.12).

-----,조선총독부 건물 중앙홀 그림의 테두리 문양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 의 대화, 422, 2014.12.17.).

-----,신라 金冠의 모양과 문양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426, 2015.1.21)

-----,삼국시대 관모冠帽의 문양과 모양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429, 2015.2.11)

-----,韓國古代 神山 世界圖像 硏究() -三國時代까지, 氣 表現 中心으로-, 韓國思想文化782015.6, 韓國思想文化學會).

-----,한국의 고대 신산 세계도상 연구() -三國時代까지, 氣 表現 中心으로-, 韓國思想文化792015.9)(韓國思想文化學會).

@----,둥근 문양 기와 즉 '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한 연구 귀목문鬼目文·일휘문 日暉文이란 명칭 사용을 금지하기 바라며-,馬韓 遺民(2015.11.4.)(2018.8.30.).

-----,扶餘 陵山里 出土 百濟金銅大香爐 硏究(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6.8).

-----,화순 대곡리 출토 청동 팔주령 문양 연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556, 2017.8.30).

-----,광주光州 대관정大觀亭 출토 조선시대 기와 문양의 해석(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565, 2017.1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제천(堤川) 월광사(月光寺) 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圓朗禪 師大寶光禪塔碑)에 대하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2018.2.28).

-----,고령 지산동 제32호묘 출토 대가야 금동관의 형태와 문양 연구(국립중앙박물 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611, 2018.10.31. *201893일 작성, 2018년 재편집).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신해석 海中神山·三神山 그림-,文化藝術硏究第十二輯(2018.12).

-----,청화백자 사각 접시에 표현된 해중신산(海中神山)(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 추천소장품 원고, 2018.12 제출).

-----,신라 금관에 대한 신연구 -소위 出字출자 또는 山字산자 입식立飾에 대한 신해 석新解釋-(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631, 2019.3.27).

-----,연화문蓮華文에 대한 신연구新硏究, 새 주장(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 화 637, 2019.5.8).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 연구,文化藝術硏究第十三輯(2019.6).

-----,연화문蓮華文을 모란문·국화문·보상화문·여의두문 등으로 잘못 판단한 예

-도자기를 중심으로-(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648, 2019.7.24).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그린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그림의 연구(국립중앙박 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651, 2019.8.14.).

-----,고려시대 동제(銅製) 연꽃 모양 장신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 추천소장품 원고, 2019.8.23 제출).

-----,조선시대 도자기에 그린 산을 표현한 연꽃·산을 화생하는 연꽃표현(도상)의 연 구(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653, 2019.8.28.).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에서 기·화생의 확산과 상승을 표현한 예(국립중앙박물 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661, 2019.10.30.).

-----,고려·조선 도자기에서 연화문을 모란문으로 착각하는 사례(1) - 고구려 연화문 의 계승-,馬韓 遺民(2019.11.28.).

@---,경주 감은사感恩寺 석탑 사리기 맨 위 둥근 고리 형태의 해석 -둥근 고리인 원 ()은 연꽃(연화)의 가장 간단한 표현이라는 주장-,馬韓 遺民(2019.12.4.).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 -딸기 또는 포도처럼 보이는

연화문·(원문圓文)으로 나타낸 연화문-,馬韓 遺民(2019.12.31.).

-----,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2) -방사형放射形 연화문·직선문(선문덩굴문·원문·삼각문등으로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확산됨을 표현-,馬韓 遺民(2020.2.10.).

-----,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3) -중앙에서 외곽을 향한 방사형(放射 形) 문양대(文樣帶)의 연화문-,馬韓 遺民(2020.2.19.).

-----,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4)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螺旋形) 연화문·고사리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馬韓 遺民(2020.2.2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5) -잎사귀가 전혀 없는 앙상한 나무 모양의 연화문’-,馬韓 遺民(2020.3.2.).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6) -연화화생산(蓮華化生山) 연화문·산 모습의 연화문-,馬韓 遺民(2020.3.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7) -불로초·난초 모습처럼 보이는 연화 문-,馬韓 遺民(2020.3.11.).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8)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 를 수용한 연화문-,馬韓 遺民(2020.3.17.).

-----,철화백자 매죽문梅竹文 항아리 등에 있는 파도문양 연구,馬韓 遺民

(2020.3.18.).

@----,통일신라 골호(骨壺)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 )를 수용한 연화문-,馬韓 遺民(2020.3.18.).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9) -‘뇌형문雷形文(번개모습의 문양)으 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연속 네모 연화문-,馬韓 遺民(2020.3.23.).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0) -‘겹겹 첫 연화문’-,馬韓 遺民(2020.3.2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1) -‘인삼잎사귀무늬·삼엽문蔘葉文이 아닌 연화문(나무 모양 연꽃중 하나)’-,馬韓 遺民(2020.3.30.).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2) -모란문으로 잘못 판단하는 연화문을 중심으로 추가 보완- ,馬韓 遺民(2020.3.31.).

-----,조선총독부 건물 文樣의 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4.6.).

-----,() 경성부청(京城府廳서울특별시청, () 서울도서관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4.7.).

-----,도자기에 그린 물고기와 연꽃 그림에 대한 연구 ·연화화생蓮華化生 관련하 여-,馬韓 遺民(2020.4.9.).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3) -철화문 분청사기의 문양 역시 대 부분 연화문-,馬韓 遺民(2020.4.10.).
-----,우리 겨레의 고대 유물에 표현된 상투 튼 모습 연구,馬韓 遺民(2020.4.17.).

-----,익산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 광배 도상 연구의 수정과 보완,馬韓 遺 民(2020.4.22.).

-----,백제 무령왕릉 출토 왕과 왕비의 관식冠飾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4.28.).

-----,통일신라시대 토기 문양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5.6.).

-----,광배의 화염문火焰文이란 용어의 잘못됨을 지적하는 연구-광배의 화염문은

나선형(螺旋形)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 연화문이다-,馬韓 遺民

(2020.5.12.).

-----,훈민정음(한글)과 청동기시대 청동기,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상관 관계 연구세종 대왕은 우리 겨레의 보편적 사고를 응용, 적용하여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馬 韓 遺民(2020.5.13.).

-----,영천 어은동 출토 청동기 문양의 연구,馬韓 遺民(2020.5.14.).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4) - 한 연화문을 두 부위 이상으로

나누어 표현한 예 -,馬韓 遺民(2020.5.18.).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文樣塼(산수문전·산경문전) 연구의 보완,馬韓 遺 民(2020.5.19.).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5.20.).

-----,국보 제95호 청자 투각 향로의 문양과 형태 연구 연화문·원문(圓文)을 칠보문 이라 잘못 부르고 있으므로 명칭 시정을 바라며-,馬韓 遺民(2020.5.21.).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의 수정·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5.27.).

-----,백제금동대향로에 관한 필자 작성 1995년까지의 글, 논문의 오류에 대하여, 馬韓 遺民(2020.5.29.).

@----,연화문·태극문·곡옥(曲玉) 안에 있는 작은 원문(圓文)’이나 작은 구멍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6.1.).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초상화에 있는 연화문에 대하여,馬韓 遺民(2020.6.3.).

-----,출토지 미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제 박산향로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6.4.).

요시무라 레이吉村怜,中國佛敎圖像硏究(東京 東方書店,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