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25

2025년 4월 28일 서울 인왕산 오동나무(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2025년 4월 28일 서울 인왕산 오동나무(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전국 각지에서 오동나무는 볼 수 있다. 인왕산에서도 청운동 쪽을 마한 유민은 거의 날마다 올라가는 데 이곳에도 오동나무가 두 그루 있다. 그중에서도 청운동 산 4-38번지 안에 있는 매우 큰 크기의 오동나무를 먼저 사진으로 소개한다. 나이들고 큰 나무들을 보호하는 데(노거수 보호) 참고가 되고 결국 잘 보호받았으면 한다. 청운동 버드나무, 인왕산 옥류동 개복숭아나무와 버드나무처럼 되지 않기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이곳은 청풍계 계곡(요즈음은 가온다리 계곡으로 불리고 있다.) 바로 옆(정확하게는 남쪽)이다. 그리고 거북바위, 암수 바위 등과도 가까운 곳이다. 이들에 관한 마한 유민이 작성한 글들은 모두 마한 유민..

카테고리 없음 2025.04.28

2025년 4월 27일 서울 인왕산 탱자나무(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번지 안)

거의 날마다 저녁 식사 뒤에약간의 운동 겸 산책하기 위하여 인왕산에 올라간다. 운동하는 곳은 높은 곳도 아닌 큰 길에서 비탈진 등산로를 따라 약 5미터 가량 올라간다.늘 한시간 가량 머무는 곳에서 매우 가까운 곳(역시 등산로 옆)에서 오늘은 탱자나무를 보았다. 지금은 보기 어렵고 특히 서울 지역에서는 자라기 힘든 나무이다.나무가 자리한 곳이 인왕산에서도 다른 곳보다 따뜻한 곳(언저리 전체가 급경사인 곳이고 특히 나무 바로 뒤는 바위 절벽이 있다)이기에 잘 자라게 된 것이라고 본다.(이곳은 옥류동 계곡 바로 옆이다. 그리고 거북바위, 암수 바위 등과도 가까운 곳이다. 이들에 관한 마한 유민이 작성한 글들은 모두 마한 유민 블로그에 실려 있고 그 전체 목록은 아래 참고 문헌에 수록하였다.) 어릴 때부터 ..

카테고리 없음 2025.04.28

2024년 11월경 잘려 없어진 서울 인왕산 옥류동의 가장 크고 오랜 개복숭아나무(2025년 1월 13일 등록)

2024년 11월경 잘려 없어진 서울 인왕산 옥류동의 가장 크고 오랜 개복숭아나무(2025년 1월 13일 등록) 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2021년 4월 4일에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 등에서 버드나무와 개복숭아나무 등을 소개하였다. 그런데 지난 겨울(2024년 11월경) 옥인동 179-1번지 안에 개숭아나무가 잘려 나갔음을 알았다. 옥류동 개복숭아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멋진 꽃을 피우던 나무인데 불행하게도 그 자취조카도 찾지 못하게 된 것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2016년 11월 16일 소개)(2015년 10월 6일 소개)에서는 아이 모양 바위가 손상되었고, 청운초등학교 뒤 청풍계의 마지막 버드나무가 잘려 없어져 버..

카테고리 없음 2025.01.13

우리나라 광배의 정의・형태・명칭・내부 구획・문양 등에 관하여(2024년 11월 30일 등록)

2024년 11월 17일에 발표하는 이 글은『마한 유민』2024년 8월 9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동원포롬에서 발표한 논문「익산 금마 오금산 발견 금동여래좌상 광배의 연구」의 일부이다.사진을 첨부한 논문은 pdf파일에 수록되어 첨부하였다.> Ⅱ. 우리나라 광배의 정의・형태・명칭・내부 구획・문양 등에 관하여    본 단원은 광배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이자 필자가 그동안 진행한 광배 연구의 핵심이다. 나아가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광배에 대한 오류 등을 지적하고 시정되기를 바라는 부분이다. 오금산 광배 연구에 적용된 지침이기도 하다. 1. 광배의 정의 빛은 보이지 않는 것인데 그 모습을 전달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려 표현하였다. 광배는 부처를 포함한 신・신적인 존재 등에서 나온..

카테고리 없음 2024.11.30

마한 유민의 공공기관에서의 강의 가능한 교육 제목을 알려드립니다.

강의 가능한 교육 제목을 알려드립니다. -조원교(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문학박사 1991년 2월 1일 입사-2021년 6월 30일 정년 퇴직)*표시는 특히 중심 강의 제목*강의는 공공기관(문화원 포함)에 한정하며 무료입니다. *서울 이외 지역은 교통비만 받습니다. *저의 집안 사정 등으로 요청하신 강의 시간을 협의하여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마한 유민>에 메모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연번명칭교육 경험 유무 소요 시간1조선의 왕궁유(다수)22조선의 왕릉유(다수)2*3조선의 태실유(다수)2*4태극기 도상의 원류와 변천유(다수)2*5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백제금동대향로의 첫 전시 및 원고 작성 *박사학위논문유(다수)2*6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유(다수)2*7조선..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2024년 9월 30일 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 -금관 금동관·기와·도자기를 중심으로(문화와 예술연구 26집, 2024년 9월 30일 발행)-

*이 논문은 필자의 지난 두 논문에서 삼국시대 금관 금동관에 대한 잘못 서술한 부분을 시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  -금관 금동관·기와·도자기를 중심으로- 조원교 (前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Ⅰ. 머리말Ⅱ. 나무 모습 연화문이 생긴 배경 및 그 기본 모습Ⅲ.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1. 모란문으로 잘못 불리는 나무 모습 연화문 2. 국화문으로 잘못 불리는 나무 모습 연화문 3. 색을 달리하며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4. 꽃잎·잎사귀가 없는 앙상한 나무 모습 연화문Ⅳ. 삼국∼조선시대 기와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Ⅴ. 삼국시대 금관·금동관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꽃 1. 연꽃 모습인 금관·금동관의 예 2. 나무 모습 연꽃인 금동관의 예 3. ‘..

카테고리 없음 2024.10.07

2024년 7월 31일 경주 북군동 출토 통일신라시대 골호에 표현된 나무 모습 연화문

2024년 7월 31일 경주 북군동 출토 통일신라시대 골호에 표현된 나무 모습 연화문 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경주 북군동 출토 통일신라 골호(도1)에는 여러 모습 연화문이 있다. (도1-1)의 왼쪽은 원문·삼각문·네모문 등으로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이고 오른쪽은 여러 모습 연화문이다. 오른쪽 문양은 왼쪽 문양의 출발이자 부분 모습이기도 하다. 신라 금관 등에 있는 고유의 나무 모습 연화문 표현이 통일신라시대 불교 및 토속 신앙에도 여전히 큰 차이 없이 표현됨을 잘 보여준다. 여러 모습 연꽃을 골호에 장식하여 극락왕생을 기원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 글 참고문헌 목록은조원교,「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서화와 삶의 디자인 고찰』-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춘..

카테고리 없음 2024.07.31

2024년 7월 30일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3) 등의 슬픈 운명

지난 2021년 1월 17일과 동년 2월 27일에 소개한 유적 중 일부가 파괴당한 슬픈 운명이기에 또 장차 거북바위 등도 파괴당할 슬픈 운명이 될것 같기에 급히 올립니다.7월 15일부터 서울시청과 종로구청에 알렸는 데도 결국 이렇게 되었습니다. 암수바위 중 남자 성기 모양 바위는 산산조각이 나 버렸고요.남자 성기 모양 중에서 특히 귀두 모양은 일부 다듬은 흔적 즉 가공한 것이 역력하였는 데 파괴당한 것입니다.(전체 사진은 참고 문헌을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조원교,「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馬韓 遺民』(2015.6.17.).조원교,「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청운동 4-39번지)」,『馬韓 遺民』(2015...

카테고리 없음 2024.07.30

익산 금마면 동고도리의 오랜 샘물 ‘한샴(寒泉)’을 위하여 2024년 6월 17일 등록

2024년 6월 17일 익산 금마면 동고도리의 오랜 샘물 ‘한샴(寒泉)’을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조원교(趙源喬)  높고 낮은 산 밑에는 물이 솟는 곳이 대부분 있다. 땅을 파지 않았는 데도 물이 지표로 솟아 넘친다(용출湧出 한다).. 따라서 두레박이 필요 없는 곳인데 이곳을 흔히 샘이라고 한다. *어떤 경우는 집안의 부엌에서도 용출하는 경우도 있다. 엽동 마을에도 그런 댁이 있었다. *땅을 파서 두레박을 이용하는 우물도 샘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금마 지역에서는 우물을  '샴'으로도 부른다. *초등학교 중학교 다닐 때 넘어 오고 가던 구명산 밑에도 아주 오래된 샘이 있다. 이 샘은『금마지金馬志(1755년)』와『익산군지(1959년)』에도 동일한 내용으로 나온다. 이 샘을 우리들은 ‘찬샴물’이라고 ..

카테고리 없음 2024.06.17

익산 금마金馬 오금산五金山 발견 금동여래좌상의 광배에 대하여(2024년 6월 13일 등록)

*이 글은 정식 논문은 아닙니다.*관련 사진을 배열하고 그 해설로 구성하였습니다.*이 해설은 필자가 그동안 주장한 학설들이 중심을 이룹니다.*따라서 필자의 주관적 해석입니다. 이 해석은 현재 학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 즉 독자적인 독보적인 해석입니다.*근간을 이루는 내용은 이미 필자의 다른 논문(맨 밑 참고문헌)에 다 실려 있습니다.*논문으로도 발표할 기회를 얻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바로 논문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첨부 파일에 실려 있습니다.(도1)금동여래좌상 조선시대, 익산 금마면 서고도리 오금산 발견, 고 9.2,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소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상산 송상규의 금마』, 2018년, p.11. 오금산과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은 4.8km거리이다.>(도1-..

카테고리 없음 2024.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