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연화문 연구 목록(연화문에 관한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2023년 2월 4일 작성. 특히 중요한 논문은 초록색 표시)

조원교 2023. 2. 4. 15:37

 

2023년 2월 4일 연화문 연구 목록(연화문에 관한 연구 목록) 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hwp
0.08MB

발표 시기 내용 비고
1990831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졸업(석사)
학위 종별 문학석사
학위등록번호 89()13762
학위논문 제목:百濟佛像光背硏究
평점 3.75/ 4.0 96.88/ 100
1990년 석사학위논문 요지는 다음과 같다. 불상 광배는 부처의 표현이며 그를 연꽃 모양으로 나타낸 것이다. 광배 내부 문양들은 기 표현으로서 상호 同格, 交互, 호환되는 관계에 놓여 있다. 이 해석은 19931212일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199121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입사(학예연구사) 국립중앙박물관
19926 익산益山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광배光背의 도상 연구圖像硏究, 󰡔미술자료󰡕 49 국립중앙박물관
199512 연화화생蓮華化生에 등장登場하는 장식문양 고찰裝飾文樣考察, 󰡔미술자료󰡕 56 국립중앙박물관
199811 연화화생산蓮華化生山 도상圖像과 그 교호交互에 관한 연구硏究, 󰡔미술자료󰡕 60 국립중앙박물관
199812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건물建物의 문양文樣에 대한 고찰考察󰡕, 󰡔중앙사론中央史論󰡕 십일十一합집合輯 중앙대학교 사학과
19997 박물관신수유물 나전연엽일주반螺鈿蓮葉一柱盤, 󰡔박물관신문󰡕 국립중앙박물관
200012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관한 연구硏究, 󰡔미술자료美術資料󰡕 65//1994년 특별전과 그 이후 작성한 마한 유민의 여러 글들(앞 초록색 논문 등)을 종합하고 교정하여 작성한 논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2009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발견 사리장엄구에 대한 연구, 󰡔百濟硏究󰡕 4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112 공주 金鶴洞 절터 출토 석조 광배(光背)에 관한 연구, 󰡔考古學誌󰡕 17, 국립중앙박물관, 723-749
2013530() 百濟 武寧王陵 출토 銀製 托盞에 대한 연구, 󰡔東垣 學術論文集󰡕, 14, 2013,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발행, pp.291-321 원고집필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발행
20131223 고구려 기와 문양文樣에 대한 연구-평양平壤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考古學誌󰡕 19, 89-138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20141210()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백제 금동관·관모冠帽·관식冠飾의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20141217()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총독부 건물 중앙홀 그림의 테두리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01512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신라 금관金冠의 모양과 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521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삼국시대 관모冠帽의 문양과 모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2015114 둥근 문양 기와 즉 '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한 연구
-귀목문鬼目文·일휘문日暉文이란 명칭 사용을 금지하기 바라며-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6826() 扶餘 陵山里 出土 百濟金銅大香爐 硏究, 󰡔박사학위논문󰡕
The Study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from Neungsan-ri, Buyeo
<총합 476, 분량: 1481(200자 원고지), 사진 780>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일문초록 중문초록 총 14)
(서론 본문 결론 참고문헌 사진목차 부록 총 462)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학박사, 학박 제23,
학위등록번호: 동방대학원대 15학박08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222()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경주 황남대총 출토 은잔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8830 둥근 문양 즉 원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하여(보완)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9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령 지산동 제32호묘 출토 대가야 금동관의 신해석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93 신라 금관에 대한 연구 - 소위 出字출자또는 山字산자입식立飾에 대한 신해석新解釋-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81031()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고령 지산동 제32호묘 출토 대가야 금동관의 형태와 문양에 대한 연구(마한 유민 201893일 작성 원고)
국립중앙박물관 가야실
2019327()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신라 금관에 대한 신연구(新硏究) - 소위 出字출자또는 山字산자입식立飾에 대한 신해석新解釋-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2019427() 2018년도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주관 춘계학술대회 연구 논문 발표
발표 제목: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있는 연화문 연구,문화 예술과 디자인, 2019427, pp.1-26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58()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연화문(蓮華文)에 대한 신연구新硏究, 새 주장 -상징·표현의 목적·명칭 그리고 기·화생化生의 표현-
국립중앙박물관 이우치 이사오(井內功) 기증실  18:00~18:30
2019613 문양 기와의 명칭에 대하여(재보완)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9630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연화문 연구, 󰡔문화와예술연구󰡕 , 第 十三輯, 40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725()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연화문(蓮華文)을 모란문·국화문·보상화문·여의두문 등으로 잘못 판단한 예 -도자기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백자 
2019814()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그린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그림의 연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2019823일 제출 큐레이터 추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원고
고려시대 동제銅製 연꽃 모양 장신구
국립중앙박물관 의뢰 결과 이 글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 2020년에 실림
2019828()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시대 도자기에 그린 산을 표현한 연꽃·산을 화생하는 연꽃표현(도상)의 연-백제금동대향로 등을 계승하다-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20191030()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에서 기·화생의 확산과 상승을 표현한 예
국립중앙박물관 가야 
20191031
(1999913일 초고)
부여扶餘 장하리長蝦里 삼층석탑三層石塔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91128 고려·조선 도자기에서 연화문을 모란문으로 착각하는 사례(1) -고구려 연화문의 계승-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9124 경주 감은사感恩寺 석탑 사리기 맨 위 둥근 고리 형태의 해석 -둥근 고리인 원()은 연꽃(연화)의 가장 간단한 표현이라는 주장-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91231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
-딸기 또는 포도처럼 보이는 연화문- 󰡔마한 유민󰡕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10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2) -방사형放射形 연화문·직선문(선문덩굴문·원문·삼각문등으로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확산됨을 표현-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19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3) -중앙에서 외곽을 향한 방사형(放射形) 문양대(文樣帶)의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2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4)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螺旋形) 연화문·고사리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2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5) -잎사귀가 전혀 없는 앙상한 나무 모양의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6) -연화화생산(蓮華化生山) 연화문·산 모습의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1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7) -불로초·난초 모습처럼 보이는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7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8)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8 철화백자 매죽문梅竹文 항아리 등에 있는 파도문양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18 통일신라 골호(骨壺)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23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9) -‘뇌형문雷形文(번개모습의 문양)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연속 네모 연화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26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0) -‘겹겹 첫 연화문’-,馬韓 遺民(2020.3.26.).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30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1) -‘인삼잎사귀무늬·삼엽문蔘葉文이 아닌 연화문(나무 모양 연꽃중 하나)’-,馬韓 遺民(2020.3.30.).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331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2) -모란문으로 잘못 판단하는 연화문을 중심으로 추가 보완- ,馬韓 遺民(2020.3.31.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6 조선총독부 건물 文樣의 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4.6.).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7 () 경성부청(京城府廳서울특별시청, () 서울도서관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4.7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9 도자기에 그린 물고기와 연꽃 그림에 대한 연구 ·연화화생蓮華化生 관련하여-,馬韓 遺民(2020.4.9.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10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3) -철화문 분청사기의 문양 역시 대부분 연화문-,馬韓 遺民(2020.4.10.).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22 익산 연동리(蓮洞里) 석조여래좌상 광배 도상 연구의 수정과 보완,馬韓 遺民(2020.4.22.).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428 백제 무령왕릉 출토 왕과 왕비의 관식冠飾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4.28.).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6 통일신라시대 토기 문양에 대한 연구,馬韓 遺民(2020.5.6.).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2 광배의 화염문火焰文이란 용어의 잘못됨을 지적하는 연구-광배의 화염문은 나선형(螺旋形) 태양문에서 유래한 나선형 연화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3 훈민정음(한글)과 청동기시대 청동기,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상관 관계 연구세종대왕은 우리 겨레의 보편적 사고를 응용, 적용하여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4 영천 어은동 출토 청동기 문양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8 특이한 모습을 보여 주는 연화문의 연구(14) - 한 연화문을 두 부위 이상으로 나누어 표현한 예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19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文樣塼(산수문전·산경문전) 연구의 보완,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0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1 국보 제95호 청자 투각 향로의 문양과 형태 연구 연화문·원문(圓文)을 칠보문이라 잘못 부르고 있으므로 명칭 시정을 바라며-,馬韓 遺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7 중국 박산향로에 관한 고찰의 수정·보완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529 백제금동대향로에 관한 필자 작성 1995년까지의 글, 논문의 오류에 대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61 연화문·태극문·곡옥(曲玉) 안에 있는 작은 원문(圓文)’이나 작은 구멍에 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63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초상화에 있는 연화문에 대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1118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221230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輯, 48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4330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에 관한 연구, 󰡔文化藝術硏究󰡕 , 第 二十四輯, 60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