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5일 조선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조선 왕실 관련 목록은 별도 작성.hwp
0.10MB
조선시대 연구 목록(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조선 왕실 관련 목록은 별도 작성)
/2023년 2월 5일 작성
발표 시기 | 내용 | 비고 |
1991년 2월 1일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입사(학예연구사) | |
1994년 12월 | 국립대구박물관 개관 때 간행한 영남嶺南의 명유名儒와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전체 원고 작성 및 편집 | 국립대구박물관 |
1998년 1월 |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이란 주제로써 재개관한 국립진주박물관의 도록 편집, 전시실 패널과 소형 카드 등 원고 작성 즉 <국립진주박물관의 임진왜란 전문박물관으로의 재개관> |
국립진주박물관 |
1998년 7월 14-8월 16일 | 특별전, <우리 호랑이> 기획; 전시 패널, 설명카드 등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1998년 7월 11일 | 특별전 도록: 「한국 호랑이의 조형造形과 상징象徵」, 특별전 우리 호랑이 | 국립중앙박물관 |
1998년 7월 11일 | 특별전 도록: 「우리나라 호랑이 관련 옛 문헌文獻」, 특별전 우리 호랑이 | 국립중앙박물관 |
1998년 11월 | 「16세기말(1560년대) 계회도契會圖 신예新例-정사신鄭士信 참여參與 「봉산계회도蓬山契會圖」 등等 6폭幅-」, 미술자료美術資料 제 61호 | 국립중앙박물관 |
1998년 12월 |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건물建物의 문양文樣에 대한 고찰考察, 중앙사론中央史論 제第 십十․십일十一합집合輯 <조선총독부 건물 文樣의 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4.6.).> |
중앙대학교 사학과 |
1999년 5월 | 새롭게 다시보는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사진해설 | 국립진주박물관 |
1999년 6월 30일 | 이주환李周煥·이진훈李軫勳·조원교趙源喬,조선朝鮮의 태실胎室 Ⅰ, Ⅱ, Ⅲ 특히 Ⅰ 내에는 논문「조선朝鮮의 태실胎室」수록 177-253면 |
서울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2000년 12월 |
「선운사禪雲寺의 역사歷史」․「내소사來蘇寺의 역사歷史」․「개암사開巖寺의 역사歷史」, 미술사학지美術史學誌 第3輯. | 한국고고미술연구소 |
2001년 2월 2일 | 경북 영천향토사연구회 초청강좌 제목:「해중신산과 병와 이형상 선생」 |
경북 영천시 |
2001년 10월 26일 | 국립전주박물관 발행, 부안에서 부안군의 역사를 집필하였으나 국립전주박물관 사정으로 재편집 되어 다른 사람들 이름으로 수록됨. | |
2002년 11월 | 국립전주박물관 사회교육관 내 전시실 <역사문화실> 및 <석전기념실> 신설 때 관련 패널, 설명카드 원고 작성 및 사진 제공.(총 500매); 동 전시실 영상정보시스템 원고 작성.(총 500매) | 국립전주박물관 |
2002년 12월 | 황병근 기증 간찰簡札 제1집 원고 교정 교열校閱(서문 작성 포함) | 국립전주박물관 |
2004년 6월 | 「부안扶安 내소사來蘇寺 봉래루蓬萊樓 현액懸額」, 박물관신문 | 국립중앙박물관 |
2005년 6월 | 「미리 본 새 국립중앙박물관 역사관」, 박물관신문 | 국립중앙박물관 |
2005년 10월 | 10월 28일 서울 용산으로 이전하여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 역사관의 전시 기획 책임 학예연구관; 국립중앙박물관 역사관 내 <왕과 국가실> 전시 관련 원고 작성: 설명카드(240매), 패널(90매), 모바일(40매), 영상(10매), 상세정보(85매) 등 원고 ; <연표실>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6년 6월 1일 | 「논산 황화정皇華亭 터를 오고 가며」, 박물관신문 *<2018년 12월 14일 (속續) 논산 황화정(皇華亭) 터를 오고 가며> |
국립중앙박물관 |
2006년 7월 29-8월 27일) | 「선무공신宣武功臣 김시민金時敏 교서敎書」의 특별공개 전시 기획; 전시 설명 카드, 패널, 리플렛 등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6년 12월 17일 | 대통령 경호실장 김세옥 표창장 제 945호 | |
2006년 12월 | 국립중앙박물관 60년 역사의 발간의 기획 및 실무; 同 책 서문 원고, 화보 사진 및 원고, 삽도 선정 및 원고, 경복궁 3기 및 4기의 개관 원고․대한제국기 박물관․일제 강점기 박물관 원고 작성, 교정 교열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3월 14일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7월 13일 | 역사관 전시실 설명, 대상 및 제목: 초중등교사 문화연수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7월 15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이 업무 수행. 조원교 학예연구관은 대통령 경호실의 자문위원 요청(시행 홍보팀-11 2006.05.11., 공문 제목: 청와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발간에 따른 자문위원 협조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추천을 받아 참가. 조원교 연구관은 초판의 교정 교열을 하여 재판 원고를 정리하고 역사문화유산 조사하고 확인하엿으며, 재판 책 안의 상당 부분은 초판에 없는 역사문화유산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원고를 조원교가 작성하였음. 대통령 경호실에서는 노고를 치하하며 조원교에게 2006년 12월 17일 대통령 경호실장 표창장(제 945호)에 이어 2007년 7월 15일 성공리에 발간하고 난 직후인 8월 13일 감사패도 수여함. 이 업무를 수행한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은 청와대 내 혁신 동아리 가운데에서 최우수상을 받았고, 진행 상황과 성과를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2007년 11월 23일 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에 참가 발표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았음.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7월 15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의 재판 발간 때 교열 및 원고 작성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8월 13일 | 대통령 경호실장 염상국으로부터 감사패 받음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9월 4일-10월 28일 | 작은 전시, <조선의 명장 임경업林慶業 장군의 칼> 기획; 전시 설명카드, 패널, 리플렛 등 원고 문안 및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11월 7일(수) | 2007년 「어린이박물관학교」 강의 강의 제목: 우리나라 옛 혼인․혼례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11월 20일-2008년 1월 27일 | 작은 전시, <때때옷의 선비 농암 이현보>의 기획 | 국립중앙박물관 |
2007년 11월 23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도록 재판 발간(2007년 7월 발간)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조원교 학예연구관은 청와대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추천을 받아 참가)이 진행. 진행 상황과 성과를 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한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에 참가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음. |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 |
2008년 3월 27일 | 덕수궁 소재한 자격루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에 따른 자문회의 개최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5월 15일-8월 31일 | 작은 전시, <금속활자에 담은 빛나는 한글>의 전시 기획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14(목)-11월 9일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 기획, 전시 개막 때 장관 등 전시실 안내; 전시 설명카드 및 패널, 보도자료, 리플랫 등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조원교, 서윤희) |
2008년 8월 14일(목)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 소개 K-TV 인터뷰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19일(화)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 소개 ucc 인터뷰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19일(화) | 국립중앙박물관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20일(수) | 국립중앙박물관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22일(금) | 한승주 전 외무부장관 및 일행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27일(수)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에 대하여 교육으로 등재하여 관우들에게 강의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8월 29일(금) | 국무총리 및 일행(국무총리부인 등)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2일(화) | 한국국기선양연구원 원장 진무상(陳戊相)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2일(화) | 재외 문화원장들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3일(금) | 문화재위원들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3일(수) | 충북 진천읍 지암리 소재 태실 도난에 대하여 인터뷰(청주 KBS 송영석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4일(목) | 2008년도 하반기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자에게 역사학 자료의 수집․조사․연구․전시에 대한 강의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10일(수)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에 대하여 교육으로 등재하여 관우들에게 강의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17일(수) | 문화체육관광부 수습 사무관들 20여명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17일(수) | 국립중앙박물관 내빈 20여명에게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실 설명(오후 7시-8시)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26일(금) | 국군방송에서 태극기전을 소개하는 방송글 문안 수정 발송 | |
2008년 9월 30(화)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 도록 발간, 그 원고 작성 즉 대한의 상징, 태극기 도록 내 부분 원고 작성 서윤희 학예연구사는 1. 태극기의 변천 원고 작성 3. 태극기와 팔괘 사괘 문양 4. 태극기와 함께 한 격동의 100년 조원교 학예연구관은 2. 태극과 팔괘 사괘 문양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박물관신문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1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태극기의 원류」,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2일(목)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와 관련하여 ‘태극기의 원류’라는 제목을 교육으로 등재하여 강의함.국립중앙박물관 교육동 2강의실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7일(화)-12월 28(일) | 테마전,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전시 기획; 전시 설명카드, 패널, 보도자료, 리플랫 등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7일(화) 오후 4시 30분- | 취소: 테마전,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직원들에게 교육으로 등재하여 전시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8일(수) 16시-17시 | 테마전,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를 자원봉사자들에게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15일(수) | 이문학회, 「노촌 선생님 떠나시던 날」, 노촌 선생님과 이문회우, 2008년 10월 15일 | |
2008년 10월 15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20(월) | *테마전,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전시 도록 발간, 그 원고 조원교趙源喬·김효경金孝京, 즉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도록 원고, 이름은 둘로 올렸으나 원고 전부를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27(월) | 역사관 자원봉사자 역사 탐방 답사 안내 및 그를 위한 글(「영릉(英陵), 영릉(寧陵), 명성황후(明成皇后) 생가(生家), 감고당(感古堂), 신륵사(神勒寺)」 작성 | 출장 동행: 김효경, 이태준 |
2008년 11월 3일(월) | 가평군청에서 요청한 가평군 상면 태봉리 소재 태실 비석에 대한 감정 의견 문안 작성 및 송부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9월 30(화) | 특별전, <대한의 상징, 태극기> 전시 도록 발간, 그 원고 작성 즉 대한의 상징, 태극기 도록 내 부분 원고 작성 서윤희 학예연구사는 1. 태극기의 변천 원고 작성 3. 태극기와 팔괘 사괘 문양 4. 태극기와 함께 한 격동의 100년 조원교 학예연구관은 2. 태극과 팔괘 사괘 문양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0월 20(월) | *테마전,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전시 도록 발간, 그 원고 즉 한글 노래의 풍류, 시조․가사 도록 원고, 이름은 둘 (조원교趙源喬·김효경金孝京)로 올렸으나 원고 전부를 내가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8년 12월 30일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재(性齋) 허전(許傳) 관련 유물 목록 원고 작성 및 편집(원고 작성 박준호/ 원고 보조 작성 조원교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월 |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문화유산 조사 전북 정읍시 관내 옛 태인현 지역」, 박물관신문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2월 | 「탁월한 선정으로 태인泰仁의 수호신이 된 신잠申潛」, 박물관신문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2월 26일(목) | 제 1차 조선실 전시 계획안 보고(관장 실장에게) | 국립중앙박물관 소회의실 |
2009년 3월 12일 | 역사관 자원봉사자를 위한 심화교육 일환으로 「조선총독부 건물의 문양에 대한 고찰」을 강의, 장소 교육관 제 2 강의실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5월 18(월) | 역사관 자원봉사자 역사 탐방 답사 안내 및 그를 위한 글(「예산 남연군 묘, 수덕사, 추사 고택 및 묘소, 헌종 태실 등」 작성 | 출장 동행: 유새롬, 이태준 |
2009년 5월 25(월) | 2009년도 국립중앙박물관 신규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역사관 전관 안내(15시 30분-17시 20분)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5월 27(수) | 2009년도 국립중앙박물관 신규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역사관 전관 안내(18시 30분-20시 00분)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7월 24(금)-2009년 12월 6일(일) | 테마전, <한글 옛 소설>의 전시 기획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8월 28일(금) | 제 3차 조선실 전시 자문회의-역사 분야- (한영우, 정옥자, 김영식, 정연식, 오성, 정만조, 관장, 실장, 부장) |
국립중앙박물관 소회의실 |
2009년 10월 21일(수) 16시-17시 30분 | 2009년도 국립중앙박물관 인턴들에게 역사부에 대한 소개-전시, 조사, 교육, 교류 등에 대하여 강의 | (문화교류단 교육팀 요청) |
2009년 10월 21일(수) (13시 00분-14시 00분) |
2009년도 하반기 공무원 직무교육 ‘박물관으로 문화 읽기’의 일환으로 역사관 안내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0월 27일(화)-2010년 1월 31(일) | 테마전, <역사문화유산조사보고, 500 여년의 마을 약속, 태인 고현동 향약> 전시 설명카드, 패널, 보도자료, 리플랫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0월 27일 | 테마전, 역사문화유산조사보고, 500 여년의 마을 약속, 태인 고현동 향약 전시 도록 원고 작성(고현동 향약(이효종 작성) 그 외 역사문화유산 부분(조원교 작성, 36-54면 등)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1월 18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전라도 태인현 역사문화유산조사사업 보고 전시 -태인 고현동의 위치와 역사, 역사문화유산(일부)」,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1월 23(월) | 관광통역안내사들(60명)에게 역사관 전관 강의(10시 30분-12시 35분) | 국립중앙박물관 제 1강의실 |
2009년 12월 9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전라도 태인현 역사문화유산조사사업 보고 전시 -정극인(丁克仁)․이항(李恒)․신잠(申潛)․도강김씨족보(道康金氏族譜),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09년 12월 |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문화유산자료집 1(1-1, 1-2) 전라북도 정읍시 내 옛 태인현 지역 원고 및 편집 | 국립중앙박물관 |
2010년 1월 20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전라도 태인현 역사문화유산조사사업 보고 전시 -국란을 극복한 태인泰仁 사람들 -」,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10년 1월 28(목) | 정읍시민(태인면민․정읍문화원 회원)(80명)에게 역사관 테마전시실 「태인 고현동 향약」 안내(12시 10분-15시 00분) | 국립중앙박물관 |
2010년 8월 5(목) | 조선실 개관 전시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발간 때 교정 및 교열 |
국립중앙박물관 |
2010년 8월 24일(화) | MBC 청주방송 인터뷰: 수표교와 수표에 대하여(조기완 피디) | 국립중앙박물관 |
2010년 8월 25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시대 서울 청계천의 수표」, 관련 원고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2월 28일(월)-4월 17(일) |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전시 기획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마한 유민) |
2011년 2월 28일(월) |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도록 발간(총 264면) -기획-원고 작성-편집-교열 趙源喬조원교 -특별 논고 작성 趙源喬조원교 1. 조선시대의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연구硏究, 226~241면 趙源喬조원교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현황 및 분석, 242~249면 趙源喬조원교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총목록, 250~254면趙源喬조원교· 이주화李柱和 1. 1~224면, 255~264면 2. 226~241면 3. 242~249면 4. 250~254면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2월 28일(월) |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전시 관련 보도에 내가 나온 기사 연합뉴스(기자 김태식) 문화일보(기자 최영창) |
국립중앙박물관(마한 유민) |
2011년 3월 | 박물관NEWS‘ 2011년 3월호(475호)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소개 글-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3월 7일(월) |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전시실 안내 -국립중앙박물관회 이사(정양모 등) 10인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3월 9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한명회韓明澮 묘지명墓誌銘 2례 조사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3월 17일(목) | 역사관 자원봉사자를 위한 심화교육 일환으로 「조선시대 묘지 묘지명 조사 연구」 강의, 장소 교육관 제 1 강의실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3월 25일(금) | 박물관 문화재 산책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관광공사 연계 프로그램 대상: 한국관광공사 직원 「조선시대 묘지․묘지명 조사 연구」 강의, 장소: 교육관 제 1 강의실(14시-16시)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요청 |
2011년 4월 | 박물관NEWS‘ 2011년 4월호(476호)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돋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4월 6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특별전에 소개된 스스로 지은 자신의 묘지」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4월 13일(수) | 대상: 2011년도 <은하박물관학교>(60세 이상) 강의 제목: 「조선시대 묘지․묘지명」 장소: 대강당(14시-17시)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요청 |
2011년 4월 13일(수) | 특별전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전시실 안내 -[CEO과정] 제4기 창조적 경영 지도자 최고위 과정(7) 강의료: 290,100원 받음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요청 |
2011년 4월 14일(목) | 대상: 2011년도 <박물관문화학교>(60세 이하) 강의 제목: 「조선시대 묘지․묘지명」 장소: 대강당(14시-17시)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요청 |
2011년 6월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선사․고대관 및 중․근세관 자원봉사자 심화교육 자료집,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에 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8월 12(금) | 전시실 안내(고려실, 조선실, 대동여지도실) -경북 경주시 옥산서원 유생 45명(이휴 선생 등) |
국립중앙박물관(마한 유민) |
2012년 1월 3일(화) | “임진년 새해맞이 유물 속 용을 찾아라” 전시의 진행 관리 전시기간: 2012 1.3(화)-2012. 3.4(일) |
|
2012년 1월 31(화) | 특집전시 “최석환과 포도그림” 전시의 진행 관리 전시기간: 2012 1.31(화)-2012. 5.28(일) |
|
2012년 2월 28일(화)-4월 15일(일) | 2012년 특별전 ‘조선 여성 문학, 천리에 외로운 꿈, 전시 기획, 전시 및 도록 ‘조선 여성 문학, 천리에 외로운 꿈, 교열 |
국립전주박물관(마한 유민) |
2012년 5월 8(화)-6월 24일(일) | 2012년 특별전 “호생관 최북” 전시 도록 교열 | 국립전주박물관 |
2012년 9월 26일(수) | 특별전 도록 ‘공주 마곡사 내 「마곡사의 역사」 원고 집필, 14-19면 | 국립공주박물관 |
2012년 11월 7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서울 청계천의 수표(水標) |
국립중앙박물관 |
2012년 12월 10일 | 진충귀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 원문 및 해석(2012년 12월 10일 이전 작성, 2019년 9월 3일 보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3년 4월 15(월) | 테마전 「월정사․상원사 등 오대산의 역사문화유산」,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漢岩과 탄허呑虛, 2013년, 국립중앙박물관 4월 15일 발행, .257-271면 원고집필 | 국립중앙박물관 간행, 마한 유민 |
2013년 4월 15(월) |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漢岩과 탄허呑虛, 책 안의 비석 부도 현판 사진 촬영(pp.66-67, 207-216면, 220-225면, 232면, 248면) | 국립중앙박물관 간행, 마한 유민 |
2013년 4월 15(월)-6월 16일 | 테마전 한국의 큰스님 글씨-월정사의 한암漢岩과 탄허呑虛, 전시 기획 |
국립중앙박물관 조원교 박성원 |
2013년 5월 29(수) | 강의: 월정사․상원사 등 오대산의 역사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1강의실, 오전 10-12시) |
국립중앙박물관 |
2013년 7월 24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파평윤씨 교리공파 문중 기증 백자 묘지墓誌와 명기明器 |
국립중앙박물관 기증문화재실 |
2013년 10월 16일(수) | 서울대학교박물관 수요교양강좌 제목: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강의료 25만원 원고료 15만원(계 40만원) |
서울대학교 박물관 |
2013년 11월 13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남원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탁본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실 |
2014년 2월 5일(수) | 표준유물관리시스템 소장품 전문정보 우수 등록자에 선정되어 포상됨(2013년도 등록) | 국립중앙박물관 |
2014년 2월 19일(수) | 2014년 상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 멘토 교육 강의 제목-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10:50-12:10) 원고 작성: 「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실 중심으로-」, 2014년 상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 멘토 교육, 51-70면 |
국립중앙박물관 고객지원팀 요청,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진행 |
2014년 8월 20일(수) | 2014년 하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멘토 기본교육 강의 제목-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09:30-10:50) 원고 작성: 「조선시대 역사 문화와 유물-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실 중심으로-」, 2014년 하반기 국립중앙박물관 청년멘토 기본교육, 85-101면. |
국립중앙박물관 고객지원팀 요청,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진행 |
2014년 12월 17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총독부 건물 중앙홀 그림의 테두리 문양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
2015년 6월 17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5년 6월 18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바위에 새긴 백세청풍(百世淸風) 글씨 |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15년 6월 | 서울시 종로구 효자동 쌍홍문(쌍효열문, 쌍효자문, 쌍정문, 쌍효려문)터 표석 시정 요구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5년 10월 6일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6년 10월 6일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거북(거북이) 바위(원고) | |
2016년 11월 13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 기어가며 자라는 소나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6년 11월 16일(2020년 1월 14일 일부 보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 상동 |
2016년 11월 16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의 능선 반룡강(蟠龍崗) 또는 와룡강(臥龍崗)에 대하여 | 상동 |
2016년 11월 16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 | 상동 |
2017년 5월 12일 간행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선인들의 마음, 보물이 되다 신국보보물전 에 대한 책자 발간에서 책자는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 공동 발행 도판해설 3개 작성 즉 p.70-71. 부여 사택지적비 p.86-89. 홍가신 청난교서 교서 및 관련 고문서 p.168-169. 정조 어찰첩 |
국립중앙박물관 |
2017년 8월 10일(목) | 강의 수원광교박물관 소장유물 연계 인문강좌 ‘이 달의 유물 이야기’ 강의 제목: 조선시대 묘지 묘지명 연구-(14-16시) |
수원시 광교박물관(시립) |
2017년 11월 7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전傳 광주光州 대관정大觀亭 출토 조선시대 기와 문양의 해석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관 2층 이우치이사오실(井內功室) |
2017년 11월 16일 | 2017년 11월 16일 촬영한 사충서원 처음 자리의 안내 표석 사진 | 마한 유민 |
2017년 12월 15일(금) | 사찰종합조사, 경기도 안성시 청룡사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직원(조원교, 김규훈) |
2017년 12월 18일(월) | 교육과 진행, 강의 제목: (노년층)‘내 생에 르네상스’(전하고 남기고 당부하고 싶었던 옛 님들의 유언遺言), 14시-15시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요청, 국립중앙박물관 제 3강의실 |
2017년 12월 20일 | 『사찰종합조사보고서 7 조선 왕실의 원당 2 안성 청룡사』 책자에서 「안성 청룡사의 역사」집필(p.11-29)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2017년 12월 22일 | 경기도 하남시 사충서원 | 마한 유민 |
2017년 12월 22일 | 2017년 12월 22일 사충서원 두 번째 자리(용산구 보광동 28번지) 모습을 전하는 자료를 올립니다 | 마한 유민 |
2017년 12월 22일 | 경기도 하남시 사충서원 묘정비 비문 번역문 교열 | 마한 유민 |
2017년 12월 27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북묘묘정비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관 동문 앞 휴게 공간 |
2018년 1월 3일 | 서울 흥천사명(興天寺銘) 동종(銅鐘)의 명문 | |
2018년 1월 30일 |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흥천사(정릉사) 기록 | |
2018년 2월 7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울 옛 보신각종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관 역사의 길 경천사탑 앞 |
2018년 4월 30일 | 테마전 『세 부처의 모임 상주 용흥사 괘불』 책자에서 「상주 연악산 용흥사의 역사」집필(pp.3-10, pp.72-74)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2018년 11월 3일(토) | 2018년도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주관 추계국제학술대회 연구 논문 발표 발표 제목:「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海中神山ㆍ三神山 그림-」,『문화와 예술의 융합과 미래』, 2018년 11월 3일, pp.37-50 |
마한 유민 |
2018년 12월 이내 | 큐레이터 추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원고 「청화백자 사각 접시에 표현된 해중신산(海中神山)」 |
국립중앙박물관 연구기획부 의뢰 결과 이 글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 2019년에 실릴 예정 |
2018년 12월 31일 |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 -海中神山ㆍ三神山 그림-」, 문화와예술연구 , 第 十二輯, 총 35면 |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
2018년 11월 14일 | 조선시대 익산군 관아 정문正門의 돌기둥(익산 금마초등학교 안으로 이전되어 있음) | 마한 유민 블로그 |
2018년 11월 16일 | 조선시대 익산군 익산 객사의 현액(현판) 이름은 마한관(馬韓館)이다 | 마한 유민 블로그 |
2018년 12월 12일 | 익산 용화산(龍華山) 남쪽 황각동(黃閣洞) 마을 유상곡수(流觴曲水) 유적과 바위에 새긴 글씨<각자刻字> | 마한 유민 블로그 |
2018년 12월 14일 | (속續) 논산 황화정(皇華亭) 터를 오고 가며 | 마한 유민 블로그 |
2019년 2월 13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조선 전기前期 도자기(특히 분청사기)에 있는 지명地名, 관청·장인匠人 명칭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실 |
2019년 4월 27일(토) | 2018년도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주관 춘계학술대회 연구 논문 발표 발표 제목:「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있는 연화문 연구」,『문화 예술과 디자인』, 2019년 4월 27일, pp.1-26 |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
2019년 6월 30일 |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연화문 연구」, 문화와예술연구 , 第 十三輯, 총 40면 |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
2019년 8월 30일 | 진충귀(陳忠貴)의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과 왕지(王旨)를 기증한 삼척진씨 대종손 고(故) 진덕용(陳悳鏞)씨와 나눈 여러 사화(史話) |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19년 9월 3일 | 진충귀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 원문 및 해석(2012년 12월 10일 이전 작성, 2019년 9월 3일 보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9년 9월 4일 | 율정(栗亭) 진의귀(陳義貴)님을 만난 역사의 길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9년 10월 16일(수) |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목: 사옹원 분원에서 개인 부탁으로 묘지석을 만들어 준 사례 |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실 |
2019년 12월 6일 | 「전라도 흥양현의 선비 송정악(宋廷岳)의 일기『서행록西行錄』에 있는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장례식(葬禮式)·상장례(喪葬禮)」, 마한 유민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19년 12월 17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증보판 발간 진행 및 원고 집필 참여 및 교정 교열 | 대통령 경호처 |
2020년 1월 14일 일부 보완(2016년 11월 16일 작성 원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1월 29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2월 2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2월 12일 | 이호준(李鎬俊) 부인 풍천임씨 백자 묘지석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
2020년 3월 18일 | 철화백자 매죽문梅竹文 항아리 등에 있는 파도문양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4월 6일 | 조선총독부 건물 文樣의 보완 연구」,『馬韓 遺民』(2020.4.6.).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4월 7일 | 구(舊) 경성부청(京城府廳)·서울특별시청, 현(現) 서울도서관에 표현한 연화문의 연구」,『馬韓 遺民』(2020.4.7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5월 13일 | 훈민정음(한글)과 청동기시대 청동기,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상관 관계 연구–세종대왕은 우리 겨레의 보편적 사고를 응용, 적용하여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5월 25일 | 청백리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氵替 申潜)의 발자취를 찾아뵌 날들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5월 26일 | 조선시대 강원도 간성군 읍지(杆城郡邑誌)의 진기한 기록(이양선, 센 바람, 눈사태 등)을 옮기다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6월 3일 |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초상화에 있는 연화문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1년 1월 1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월 18일 |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천·지·인)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월 19일 | 『조선의 태실(1999년 6월 30일 발간)의 교정, 보완-정오표正誤表 및 추가 내용-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2월 16일 | 조선시대 익산군 객사 이름에 대하여 -마한관 보다는 금마관이라는 주장-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2월 2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2월 2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4(신교동 2-140번지)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3월 6일 | 조선시대 익산군의 흑석부곡黑石部曲 흑석원黑石院 흑석제黑石堤에 대하여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4월 3일 | 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4월 4일 |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4월 19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5(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7월 12일 | 화강華岡 이영우李英雨 님이 그린 군어도(群魚圖) 어해도(魚蟹圖) 병풍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0월 5일 | 2004년 5월 22일 전주시 삼천동 안산(案山.雁山)에 세운 楊州趙氏世阡碑 등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0월 7일 | 2016년 봄날 경기도 시흥시 용당龍堂에 세운 楊州趙氏世阡碑|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0월 15일 | 매천 황현의 저술 매천야록에서 읽은 충정공 조병세의 기록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5월 23일 | 경기도 양주시 휴암 백인걸 선생의 부인 평택임씨 묘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5월 23일 | 익산의 지명(땅이름) 금마에 대하여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5월 26일 | 익산 왕궁리 유적의 모질메 지명에 대하여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6월 17일 | 이우당 조태채의 별서 시흥 우파를 찾아서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6월 21일 | 연천군 왕징면 북삼리의 휴암 백인걸 낚시터(휴암조대)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6월 22일 | 전북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 392번지의 탁영선생濯纓先生 거문고 ‘탁영금濯纓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7월 10일 | 조선에 살다 묻힌 명나라 궁녀 굴씨(屈氏)에 관한 자료(묘지墓誌,문헌,묘소).명나라 궁인 굴씨녀의 자료 소개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10월 10일 | 풍덕도호부사 심익선沈益善 부부의 묘지석(墓誌石)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2년 12월 30일 |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文化와藝術硏究 , 第 二十輯, 총 48면 | 서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
2022년 12월 22일 | 서울 석촌동 백제 적석 무덤(3층 적석 무덤)과 병자호란 수항단 ’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3년 1월 25일 | 익산 금마면 동고도리에서 태어난 항일 독립 애국지사 임규(林圭) 선생 묘소 등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3년 1월 27일 |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익산 양촌대(陽村臺)와 양촌권근선생유허비(遺墟碑) 그리고 진의귀(陳義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마한 유민 작성 목록 등
1991년 7월 27일 발행 | 「銘文資料」, 불사리장엄佛舍利莊嚴조원교(239-258면) | 국립중앙박물관 | |
1991년 7월 27일 발행 | 「한국불사리장엄구목록」, 불사리장엄佛舍利莊嚴 (224-237면, 세 학예연구사 즉 김연수 유옥경 조원교 작성) 원고 | 국립중앙박물관 | |
1997년 7월 8일-8월 10일 | 특별전 도록: 「명문자료銘文資料」, 우리나라 금속공예金屬工藝의 정화精華 -입사공예入絲工藝- (1997년 7월 7일 발행), 121-126면 | 국립중앙박물관 | |
1998년 7월 11일 | 특별전 도록: 「우리나라 호랑이 관련 옛 문헌文獻」, 특별전 우리 호랑이 | 국립중앙박물관 | |
2008년 12월 30일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재(性齋) 허전(許傳) 관련 유물 목록 원고 작성 및 편집(원고 작성 박준호/ 원고 보조 작성 조원교 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 |
2011년 2월 28일(월)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현황 및 분석」,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242~249면 | 국립중앙박물관 | |
2011년 2월 28일(월)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묘지(墓誌)․묘지명(墓誌銘) 총목록」 삶과 죽음의 기록 조선 묘지명,, 250~254면, 趙源喬조원교· 이주화李柱和 | 국립중앙박물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