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날마다 저녁 식사 뒤에
약간의 운동 겸 산책하기 위하여 인왕산에 올라간다. 운동하는 곳은 높은 곳도 아닌 큰 길에서 비탈진 등산로를 따라 약 5미터 가량 올라간다.
늘 한시간 가량 머무는 곳에서 매우 가까운 곳(역시 등산로 옆)에서 오늘은 탱자나무를 보았다. 지금은 보기 어렵고 특히 서울 지역에서는 자라기 힘든 나무이다.
나무가 자리한 곳이 인왕산에서도 다른 곳보다 따뜻한 곳(언저리 전체가 급경사인 곳이고 특히 나무 바로 뒤는 바위 절벽이 있다)이기에 잘 자라게 된 것이라고 본다.
(이곳은 옥류동 계곡 바로 옆이다. 그리고 거북바위, 암수 바위 등과도 가까운 곳이다. 이들에 관한 마한 유민이 작성한 글들은 모두 마한 유민 블로그에 실려 있고 그 전체 목록은 아래 참고 문헌에 수록하였다.)
어릴 때부터 청년이 될 때까지는 매우 흔하게 본 나무였고 지금은 보기 힘든 나무이기에 매우 반가웠다. 시골집도 서쪽 담장을 탱자나무로 둘렀었는 데 새마을 운동 때 잘려나가고 그 자리는 도로가 되었다.
낮에 와 더 촬영하기로 하고 오늘은 겨우 찍은 한 장만을 올린다.
이 글을 계기로 이 탱자나무 등 소중한 나무들이 서울 청운동 버드나무, 서울 인왕산 옥류동 개복숭아나무와 버드나무처럼 함부로 베어지거나 사라지게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靑春 길목에서
우리는
남루襤褸를 모르는
나비의 날개
우리는 산마을
왼종일 돌아가는
孤獨의 물레방아
우리는 접고 접은
友情 속에서
우리는
높고 높은 理想속에서
그리고
무엇인지는
확실히 모르는
기다림 속에서
별이 새도록 걸어도 본다.
탱자울을 넘보는
靑春의 몸부림으로
아무런 죄없는 죄인으로
두근거리는 純潔로써
蒼空을 바라볼 수 있는
우리는 靑春
그 모든 것은
청춘의 몸부림
아무것도 모르는
역맛살驛馬煞을 포옹한
우리는 湖畔의 물새
우리는 망각을 애타게 彩色할
世紀의 畫伯
1986년 12월 중앙대학교 신문 <중대일보>
탱자꽃 마을
탱자 울타리
그 뉘도 발걸음 막는 복숭아 밭 울타리의
탱자나무에는
남다른 가시가 돋아 있지만,
그 언저리 맴돌면
어린날 동심 언제고 절로 떠올라.
어린날 발걸음은
잔잔한 나의 발거름
하얀꽃 따보려 그 그늘 의지하며
누이와 놀던 동무와 놀던 그 탱자울
탱자 단풍잎 물들면
어김없이 노란 열매를 주셨던
어린날
먼날 걱정에 한숨도 쉰 나는 작은 소년이었지
이제 탱자울은
모두 걷어서
벽돌담으로 바뀌었듯이
기억도 가물가물한 우리 동심의 나라
1991년 신미년 春
*마한 유민은 이웃 마을에 사는 후배와 혼인하였다. 처갓집은 집 옆에 상당히 규모가 큰 복숭아과수원이 있었는 데 이 시처럼 탱자나무 울타리가 둘러 있었다. 우연하게 일치된 것이다.
<참고문헌: 2025년 4월 27일 서울시 청운동 신교동 옥인동 효자동 인왕산 관련 원고(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시기 | 내용 | 비고 |
1991년 2월 1일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입사(학예연구사) | |
2007년 7월 15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이 업무 수행. 조원교 학예연구관은 대통령 경호실의 자문위원 요청(시행 홍보팀-11 2006.05.11., 공문 제목: 청와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발간에 따른 자문위원 협조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추천을 받아 참가. 조원교 연구관은 초판의 교정 교열을 하여 재판 원고를 정리하고 역사문화유산 조사하고 확인하였으며, 재판 책 안의 상당 부분은 초판에 없는 역사문화유산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원고를 조원교가 작성하였음. 대통령 경호실에서는 노고를 치하하며 조원교에게 2006년 12월 17일 대통령 경호실장 표창장(제 945호)에 이어 2007년 7월 15일 성공리에 발간하고 난 직후인 8월 13일 감사패도 수여함. 이 업무를 수행한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은 청와대 내 혁신 동아리 가운데에서 최우수상을 받았고, 진행 상황과 성과를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2007년 11월 23일 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에 참가 발표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았음.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7월 15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의 재판 발간 때 교열 및 원고 작성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8월 13일 | 대통령 경호실장 염상국으로부터 감사패 받음 | 대통령 경호실 |
2007년 11월 23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도록 재판 발간(2007년 7월 발간)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조원교 학예연구관은 청와대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추천을 받아 참가)이 진행. 진행 상황과 성과를 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한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에 참가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음. |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 |
2015년 6월 17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5년 6월 18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바위에 새긴 백세청풍(百世淸風) 글씨 |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15년 6월 | 서울시 종로구 효자동 쌍홍문(쌍효열문, 쌍효자문, 쌍정문, 쌍효려문)터 표석 시정 요구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5년 10월 6일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6년 10월 6일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거북(거북이) 바위(원고) (*참고 자료로 이 목록에 포 함시킴) | |
2016년 11월 13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 기어가며 자라는 소나무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16년 11월 16일(2020년 1월 14일 일부 보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 상동 |
2016년 11월 16일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의 능선 반룡강(蟠龍崗) 또는 와룡강(臥龍崗)에 대하여 | 상동 |
2016년 11월 16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 | 상동 |
2019년 12월 17일 |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증보판 발간 진행 및 원고 집필 참여 및 교정 교열 | 대통령 경호처 |
2020년 1월 14일 일부 보완(2016년 11월 16일 작성 원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1월 29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0년 2월 2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
2021년 1월 1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 | 발표 장소: 마한 유민 |
2021년 1월 18일 |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천·지·인)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 상동 |
2021년 2월 2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 | 상동 |
2021년 2월 27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4(신교동 2-140번지) | 상동 |
2021년 4월 3일 | 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 | 상동 |
2021년 4월 4일 |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 | 상동 |
2021년 4월 19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5(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 | 상동 |
2023년 9월 22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6(신교동 2-140번지) -암수 바위- | 상동 |
2023년 12월 9일 | 서울시 종로구 신교동 산 9-1번지 인왕산 안에서 찾은 거북이 모양 바위들 | 상동 |
2024년 4월 10일 작성 | 2023년 7월 25일 직전 잘려버린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 계곡의 버드나무 | 상동 |
2024년 7월 30일 |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2)·(3) 등의 슬픈 운명 | 상동 |
2025년 1월 13일 | 2024년 11월경 잘려 없어진 서울 인왕산 옥류동의 가장 크고 오랜 개복숭아나무(2025년 1월 13일 등록) | 상동 |
2025년 4월 27일 | 서울 인왕산 탱자나무(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번지 안) | 상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