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4월 28일 서울 인왕산 오동나무(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조원교 2025. 4. 28. 10:20

2025428일 서울 인왕산 오동나무(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전국 각지에서 오동나무는 볼 수 있다.

인왕산에서도 청운동 쪽을 마한 유민은 거의 날마다 올라가는 데 이곳에도 오동나무가 두 그루 있다. 그중에서도 청운동 산 4-38번지 안에 있는 매우 큰 크기의 오동나무를 먼저 사진으로 소개한다. 나이들고 큰 나무들을 보호하는 데(노거수 보호) 참고가 되고 결국 잘 보호받았으면 한다. 청운동 버드나무, 인왕산 옥류동 개복숭아나무와 버드나무처럼 되지 않기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이곳은 청풍계 계곡(요즈음은 가온다리 계곡으로 불리고 있다.) 바로 옆(정확하게는 남쪽)이다. 그리고 거북바위, 암수 바위 등과도 가까운 곳이다. 이들에 관한 마한 유민이 작성한 글들은 모두 마한 유민 블로그에 실려 있고 그 전체 목록은 아래 참고 문헌에 수록하였다.)

 

오동나무는 어릴 때부터 마한유민의 엽동(葉洞 마을) 시골집에서 매우 많이 있던 나무이다. 어느 풍수가가 집터가 낮으므로 오동나무를 많이 심어 부풀려 보이게 하면 좋다고 권하였기로 심었는 데 번식력이 매우 좋았다.

*집터를 좋게 하려는 비보(裨補) 차원으로 심으신 것이다.

 

아버지(1924-1997)께서는 梧葉洞天이란 현판 글씨도 남기셨다. 모습이 귀품이 있어서 그랬던지 예로부터 신선 세계의 대표적인 새 봉황이 앉는 나무라는 전설이 있다. 필자의 아들(조명동) 이름에도 오동나무 자가 들어가 있다. 노촌(老村) 이구영(李九榮; 1920-2006) 선생님께서 지어주신 이름이다.

 

지도 사진의 청색 표시는 여기에 소개하는 오동나무가 있는 곳(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2025년 4월 28일 촬영
2025년 1월 4일 촬영
2025년 1월 4일 촬영
2025년 1월 4일 촬영
2025년 4월 28일 촬영
2025년 4월 28일 촬영

 

2025년 4월 28일 촬영
2025년 4월 28일 촬영
2025년 4월 28일 촬영

 

梧桐 아래서

다가가면 속삭이듯

따스한 말이 오간다.

3월 아침 처럼

조용하게, 다정하게

 

가을이 왔다.

, 잎이 서글피 운다.

올해의 누렁빛은 나의 조그만 가슴

오늘밤 비바람으로 마당에 뒹구인다.

 

언제나 네 아래서 책을 읽은 나

파랗고 큰 잎 사이로 보이던 작은 동산

오솔길 따라 詩人이 되었고...

 

캠퍼스에 달 오르면 봉황새 기다렸네

크디큰 우주의 神木으로 와닿는 거룩함

 

그러나 오늘밤

뚝 떨어진 잎따라

내 올해 낭만도 가려나 가려나

1981917

 

 

 

무제 : 고향 엽동과 엽동집 그리고 아버지 어머니를 생각하며 지은 시임

馬韓의 나랏님도 사랑한 葉洞마을

玉龍川 물을대니 즐거운 黃金들판

彌勒山 精氣내린 뒷동산 안겨살며

王宮塔 놀러가고 鳳實山 해달맞지

녹사래 九明山길 정다운 學童들은

회떼기 멀리불며 꿈나래 펼쳤던가

石堂이 논을매워 마련한 이집터에

梧桐은 날로불고 鳳凰도 노래하네

어버이 모진苦生 한땐들 잊을소냐

옷깃을 여미면서 子孫에 전하리라

2011107

(이날까지 지은 시를 모두 옮겼다.)

 

 

불쌍한 오동나무 겨울에 베어졌네

산중에 도둑질을 산신령 못막았네

봄되니 가슴을 치며 새순 조금 토했네

 

깊은 골 북향이고 외로운 몸이러니

나그네 오고 가며 의지가 되었는 데

차라리 칡덩쿨 속에 엉켜 있게 할 것을

2024517

연천 선산 근처의 깊은 숲 속에 매우 큰 오동나무가 베어져 있어서 슬퍼하며 지었다.

 

 

 

겨울에 잘려나간 밑둥서 자란 오동

이렇게 살아나니 나 역시 희망 얻어

살아갈 동안 둘이서 웃음꽃을 피우세

2024813

 

<참고문헌: 2025428일 서울시 청운동 신교동 옥인동 효자동 인왕산 관련 원고(마한 유민의 원고 목록)>

 

발표 시기 내용 비고
199121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입사(학예연구사)  
2007715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이 업무 수행. 조원교 학예연구관은 대통령 경호실의 자문위원 요청(시행 홍보팀-11 2006.05.11., 공문 제목: 청와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발간에 따른 자문위원 협조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추천을 받아 참가. 조원교 연구관은 초판의 교정 교열을 하여 재판 원고를 정리하고 역사문화유산 조사하고 확인하였으며, 재판 책 안의 상당 부분은 초판에 없는 역사문화유산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원고를 조원교가 작성하였음. 대통령 경호실에서는 노고를 치하하며 조원교에게 20061217대통령 경호실장 표창장(945)에 이어 2007715일 성공리에 발간하고 난 직후인 813감사패도 수여함. 이 업무를 수행한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은 청와대 내 혁신 동아리 가운데에서 최우수상을 받았고, 진행 상황과 성과를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20071123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에 참가 발표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았음. 대통령 경호실
2007715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재판 발간.
이 책의 재판 발간 때 교열 및 원고 작성
대통령 경호실
2007813 대통령 경호실장 염상국으로부터 감사패 받음 대통령 경호실
20071123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도록 재판 발간(20077월 발간)은 청와대 내 역사문화유산 모임(조원교 학예연구관은 청와대 요청을 받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추천을 받아 참가)이 진행. 진행 상황과 성과를 서울시 중구 무교동 96번지 중앙인사위원회 건물에서 개최한 정부학술조직회의 동아리 2007년도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에 참가하여 2등인 우수상을 받음. 중앙행정기관 우수연구 모임 발표대회
2015617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안 옛 청풍계 마지막 개울가에 겨우 남은 버드나무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5618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바위에 새긴 백세청풍(百世淸風) 글씨 발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156 서울시 종로구 효자동 쌍홍문(쌍효열문, 쌍효자문, 쌍정문, 쌍효려문)터 표석 시정 요구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5106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의 거북 바위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6106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거북(거북이) 바위(원고) (*참고 자료로 이 목록에 포 함시킴)  
20161113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
기어가며 자라는 소나무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161116(2020114일 일부 보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상동
20161116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뒷산(인왕산 기슭, 청운공원)의 능선 반룡강(蟠龍崗) 또는 와룡강(臥龍崗)에 대하여 상동
20161116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1(청운어린이집 서쪽) 상동
20191217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책자 증보판 발간 진행 및 원고 집필 참여 및 교정 교열 대통령 경호처
2020114일 일부 보완(20161116일 작성 원고)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의 청풍계淸風溪와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집터에 대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129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022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신교동 2-140번지의 동물 모양 바위 유적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자료관리시스템; 마한 유민
2021117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2(신교동 2-140번지와 옥인동 산 3-1번지)의 보완 발표 장소: 마한 유민
2021118 서울시 청운동 52-8번지 출토 분청사기편에 있는 특이한 연화문 -‘우주적 표현인 삼재三才(··)를 수용한 연화문의 일례- 상동
2021227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3(신교동 2-140번지) 상동
2021227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4(신교동 2-140번지) 상동
202143 서울 인왕산 기슭 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의 다정한 두 자두나무 상동
202144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玉流洞) 계곡의 봄 상동
2021419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祈子 신앙 유적 5(종로구 신교동 2-140번지) 상동
2023922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6(신교동 2-140번지) -암수 바위- 상동
2023129 서울시 종로구 신교동 산 9-1번지 인왕산 안에서 찾은 거북이 모양 바위들 상동
2024410일 작성 2023725일 직전 잘려버린 서울 인왕산 기슭 옥류동 계곡의 버드나무 상동
2024730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 기자 신앙 유적 2)·(3) 등의 슬픈 운명 상동
2025113 202411월경 잘려 없어진 서울 인왕산 옥류동의 가장 크고 오랜 개복숭아나무(2025113일 등록) 상동
2025427 서울 인왕산 탱자나무(서울시 종로구 옥인동 산 3-1번지 안) 상동
2025428 서울 인왕산 오동나무(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8번지 안) 상동